본문 바로가기
5분한끼

칼칼하고 바삭한 김치전 만들기

by 탕호루가조아요 2023. 11. 2.

 

쌀쌀한 가을저녁 막걸리와 함께 감성혼술하기 좋은 김치전을 소개합니다.

저녁식사 반찬으로 손색없구요.

만드는비법이라는게 너무 간단해서 설명해준다고 말씀드리기도 민망하네요

간단하게 후다닥 만들수 있는 김치전이며,

바삭하고 칼칼한 맛이 죽여준답니다.

 

그럼 김치전의 재료와 조리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재료

◇ 김치  / 신김치가 좋아요. 1/4포기 약500g

부침가루 /  튀김가루나 밀가루 어떤것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부침가루를 많이 이용합니다.

밀가루 사용시 

중력분추천 / 첨가물활용필수 해물다시다나 맛소금+후추가루 를 첨가해줍니다.

 

 

 

조리방법

1>

신김치 다듬기  

김치소를 닦아냅니다. 특히 오해 숙성된 김치라면 흐르는물에 한번 헹굼해서 꼭 짜서 사용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김치는 약1센치내외로 가로썰기를 해줍니다.  대충 새끼손가락정도 사이즈가 나옵니다.

 

김치썰기팁 :  우유각을 사용후 버리지 말고 잘펴서 한번 헹굼한뒤 위 사진처럼 김치처럼 도마에 물들기 쉬운식재료

다듬을때 활용하세요.  

 

2>

김치와 반죽물 만들기

김치의 부비와 1:1 비율로 부침가루를 넣어줍니다.

김치를 흐르는물에 헹굼했다면 색감이 거시기 합니다. 고추가루 1스푼 (색감내기용) 투하합니다.

고추가루대신 김치국물을 활용하는것도 방법입니다.

묵은지의 맛과 상태가 좋다면 고추가루보다. 김치국물을 활용하는게 좋겠지요.

김치국물 사용시 김치소나 가라앉아있는 지꺼기는 피하시고 국물만 깔끔하게 넣어주세요

김치국물은 약5스푼정도가 적당합니다.

 

물은 김치 1: 부침가루1: 물1  정도 1:1:1 비율로 넣어주면 됩니다.

반드시 찬물로 넣어주세요. 

 

야무지게 잘 섞어줍니다.

 

걸죽함은 사진처럼 반죽이 줄줄 흐르는 농도가 정상입니다.

 

3>

김치전부치기

후라이펜에 식용유를 넉넉하게 둘러줍니다. 자박하게 김치전이 기름에 튀기듯 부쳐주는게 포인트입니다.

불세기는 중불입니다. 

부침개의 사이즈는 가능한 후라이펜에 꽉채우지 말고 2~3개로 나눠서 호떡처럼 튀기듯이 부쳐줍니다.

 

 

 

김치전은 겨울철 김치를 이용해서 만들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넉넉한 식용유에 튀기듯 부쳐주는것 

묵은지를 헹굼해서 쿰쿰함을 최소화 하는것

반죽의 농도 1:1:1

 

이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겨울대표야식 / 술안주 /밥반찬

김치전의 재료와 조리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지글지글 아는맛이 더 무섭네요.

글쓰는 내내 계속 침이 꼴깍꼴깍 합니다.

 

그럼 막걸리를 사러 출발하세요~

감사합니다.